195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은 1952년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대회로,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그레코로만형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6개로 1위를, 스웨덴이 3개, 헝가리가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자유형에서는 소련, 스웨덴, 헝가리, 터키, 미국, 핀란드, 일본 등이 금메달을 나누어 가졌으며, 총 37개국에서 244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명의 선수가 레슬링 종목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4개, 여자 9개 종목에서 57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고, 에밀 자토펙이 3관왕을 달성하며 다수의 올림픽 및 세계 기록이 수립되었다. - 195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
1952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7개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김성집은 미들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목 | 레슬링 |
대회 | 1952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헬싱키 |
경기장 | 메수할리 |
날짜 | 1952년 7월 20일 ~ 27일 |
참가 선수 | 244명 |
참가 국가 | 37개국 |
이전 대회 | 1948 |
다음 대회 | 1956 |
세부 종목 |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플라이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밴텀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페더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라이트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웰터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미들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라이트 헤비급 남자 그레코로만형 헤비급 남자 자유형 플라이급 남자 자유형 밴텀급 남자 자유형 페더급 남자 자유형 라이트급 남자 자유형 웰터급 남자 자유형 미들급 남자 자유형 라이트 헤비급 남자 자유형 헤비급 |
2. 경기 결과
2. 1. 그레코로만형
플라이급 | 세부 종목 | |
---|---|---|
밴텀급 | 세부 종목 | |
페더급 | 세부 종목 | |
라이트급 | 세부 종목 | |
웰터급 | 세부 종목 | |
미들급 | 세부 종목 | |
라이트 헤비급 | 세부 종목 | |
헤비급 | 세부 종목 | |
2. 1. 1. 플라이급
wikitable
2. 1. 2. 밴텀급
임레 호도스(헝가리)가 금메달, 자카리아 치밥(레바논)이 은메달, 아르템 테리안(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3. 페더급
야코프 푼킨(소련)이 금메달, 임레 폴리악(헝가리)이 은메달, 압델 알-라시드(이집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wikitable
선수 | 국가 |
---|---|
야코프 푼킨 | |
임레 폴리악 | |
압델 알-라시드 |
2. 1. 4. 라이트급
샤잠 사핀(소련)이 1952년 헬싱키 올림픽 레슬링 남자 라이트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구스타브 프레이(스웨덴)는 은메달을, 미쿨라시 아타나소프(체코슬로바키아)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2. 1. 5. 웰터급
wikitext
2. 1. 6. 미들급
악셀 그뢴베르그 (스웨덴)가 금메달, 칼레르보 라우할라 (핀란드)가 은메달, 니콜라이 벨로프 (소련)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1. 7. 라이트헤비급
195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라이트헤비급에서 핀란드의 켈포 그뢴달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소련의 샬바 치클라제는 은메달을 차지했다. 스웨덴의 칼-에릭 닐손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8. 헤비급
wikitext
2. 2. 자유형
경기/Event영어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플라이급 | |||
밴텀급 | |||
페더급 | |||
라이트급 | |||
웰터급 | |||
미들급 | |||
라이트 헤비급 | |||
헤비급 |
2. 2. 1. 플라이급
wikitable
2. 2. 2. 밴텀급
wikitable
2. 2. 3. 페더급
바이람 시트 (터키)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나세르 기베치 (이란)가 은메달, 조시아 헨슨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2. 2. 4. 라이트급
wikitext
2. 2. 5. 웰터급
wikitext
2. 2. 6. 미들급
wikitext
2. 2. 7. 라이트헤비급
wikitext
2. 2. 8. 헤비급
wikitext
총 37개국에서 244명의 레슬링 선수가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1]
3. 메달 집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소련 6 2 2 10 2 스웨덴 3 4 1 8 3 헝가리 2 1 1 4 4 터키 2 0 1 3 5 미국 1 2 1 4 6 핀란드 1 1 2 4 7 일본 1 1 0 2 8 이란 0 2 3 5 9 레바논 0 1 1 2 체코슬로바키아 0 1 1 2 11 이탈리아 0 1 0 1 12 이집트 0 0 1 1 인도 0 0 1 1 영국 0 0 1 1 합계 16 16 16 48
195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종목에서는 소련이 금메달 6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스웨덴이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2위를 기록했고, 헝가리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3위에 올랐다.
4. 참가국
5. 대한민국 선수단
참조
[1]
웹사이트
Wrestling at the 1952 Helsinki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9-03-06
[2]
간행물
THE OFFICIAL REPORT OF 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GAMES OF THE XV OLYMPIAD HELSINKI 1952
http://www.olympic-m[...]
1952
[3]
웹사이트
Wrestling at the 1952 Helsinki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LLC
2016-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